성우 연기 입문반 성우 연기 입문반
scroll

일반과정

성우 연기 입문반 성우연기 과정

성우 연기 입문반 소개

성우 연기 입문반

이 과정은 성우를 꿈꾸는 입문자와 목소리 표현력을 향상시키고 싶은 일반인, 방송·더빙·오디오북 등 음성 콘텐츠 제작에 관심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다.

기초 발성과 호흡, 정확한 발음과 억양을 체계적으로 연습하며, 대사 전달과 감정 표현, 캐릭터 음성 구현 등 연기적 기본기를 익힌다. 또한 더빙과 내레이션 실습을 통해 실제 음성 콘텐츠 제작의 과정과 기술을 경험하며, 자신의 목소리를 활용한 다양한 표현 능력을 확장하고 전문적 감각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의처
  • 전화 02-910-5195 (평생교육원 교학팀)
  • 수업은 정원을 기준으로 개설되며, 정원이 미달될 경우 폐강될 수 있음.
원서접수 원서접수
  • 모집기간

    10/01 ~ 10/23

  • 제출방법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수강신청

  • 모집인원

    13명

온라인 수강신청
강의정보
  • 모집인원 및 대상

    성인학습자 13명(직장인, 대학생, 취업준비생 등)

  • 교육기간

    2025.10.23.(목)~2026.01.29.(목) 19:00~21:00(15주 과정, 주 1회, 2시간씩)

  • 교육장소

    국민대학교 종합복지관 204-7호(강의실), 평생교육원실기관 녹음 스튜디오

원서접수 원서접수
  • 모집기간

    10/01 ~ 10/23

  • 제출방법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수강신청

  • 모집인원

    13명

온라인 수강신청

강의계획서

주차별 수업 내용
주별   학습자료 및 기타 참고사항
제1주 1. 수업개요 설레는 첫 시간, 함께 성우 연기를 경험하고 성장할 시간에 대한 기대와 관련 경험을 나눕니다. 수업 과정과 성우는 어떤 직업인지 와 작업 분야 전망 등 흐름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더불어 학생들의 말하기, 기본 낭독 등을 통해 학생의 보이스 연기의 현재를 알아봅니다. 준비: 자신을 보여줄 수 있는 1분정도의 진솔한 자기소개 준비.
2. 수업 목표 성우 직업의 특성과 영역을 파악하고, 학습 동기를 부여한다.
자기 목소리의 특성과 말의 습관을 알아본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자기소개
나. 과정 개요 및 운영 방향과 방법 소개
다. 성우 작업의 특성과 영역 소개
라. 텍스트 읽기와 단문 연기 발표
마. 참여 동기와 기대 공유
바. 향후 일정 및 준비 사항 안내
제2주 1. 수업개요 스마트폰과 신문 등을 통한 다양한 컨텐츠 직접 제작 준비물: 신문
2. 수업 목표 신문을 활용해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텍스트 낭독을 통해 텍스트를 해석하고, 낭독하는 과정을 익힌다. 라디오 프로그램 구성을 아이디어로 삼아 자연스러운 말하기와 다양한 낭독을 동시에 경험하고, 그 차이를 인식한다. (기사 낭독, 광고, 진행자 등)
3. 세부 진행 내용 가. 낭독에 필요한 기본 호흡과 소리, 발음을 연습한다.
나. 텍스트를 파악하고, 낭독을 위해 필요한 이론을 나눈다.
다. 팀을 구성한다. 텍스트를 해석하고, 성격을 파악한다.
라. 팀별로 하나의 라디오 프로그램을 구성해 발표하고 피드백
마. 모든 학생이 말하기와 낭독을 경험하고, 피드백을 받고 실행한다.
바. 수업 중 느끼거나 관찰된 점, 차이점 나누기
제3주 1. 수업개요 문학 작품 낭독과 1인칭 내레이션, 말하기 텍스트( 준비된 텍스트 배포_ 각자 준비? 혹은 행정실 출력 가능한지 확인 요망)
2. 수업 목표 텍스트 장르의 특성과 표현의 차이를 인식한다.
(로맨스, 추리/미스터리, 역사, 성장소설)
내용의 차이가 다른 연기로 연결되고 표현되도록 한다.
함께 같은 작품을 낭독하면서 조화롭게 에너지를 이어가는 성우 연기를 경험하고 실행한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내용에 따라 나뉘는 문학 장르별 발생하는 성우 연기의 차이를 알아본다.
나. 텍스트를 파악하고 연습한다.
다. 두 종류의 텍스트의 차이를 분명하게 낭독한다.
라. 팀을 이루어 작품을 함께 연습, 발표한다.
마. 수업 중 느낀 점, 관찰한 점, 차이점 나누기
제4주 1. 수업개요 라디오 드라마 장면 연기로 상대배역과 장면 안에 함께 존재하는 연기를 실습한다. 텍스트( 준비된 텍스트 배포_ 각자 준비? 혹은 행정실 출력 가능한지 확인 요망)
2. 수업 목표 텍스트의 흐름과 중요한 지점을 읽어내고, 그 장면을 목적에 맞게 연기한다. 듣고 반응하고 진실한 말하기로 장면 연기를 실행한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텍스트 콜드 리딩, 파악하기
나. 장면을 위해 필요한 재료 이해하기, 짐작과 상상, 몸으로의 연결
다. 캐스팅, 연습, 실행
라. 캐스팅 바꾸어서 연기하기
마. 수업 중 느낀 점과 관찰한 점, 차이점 나누기
제5주 1. 수업개요 라디오 드라마 장면 연기를 세밀하게 점검하고, 생동감 있는 연기를 위해 연습하고 실행한다. 텍스트( 준비된 텍스트 배포_ 각자 준비? 혹은 행정실 출력 가능한지 확인 요망)
2. 수업 목표 낭독과 말하기, 장면 연기로 이어온 성우 연기 입문 첫 번째 과정의 마무리로 생동감 있는 말하기를 용기 있게 실행한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팀 작품 결정과 텍스트 파악, 캐스팅
나. 연습과 피드백, 팀별 연습
다. 실행과 피드백, 수업 마무리 나눔
제6주 1. 수업개요 다양한 장르 내레이션 더빙 수업1
2. 수업 목표 성우 연기의 특수성을 경험한다.
다양한 장르의 내레이션을 경험하고 연습한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다큐멘터리, 광고 내레이션 텍스트와 영상 파악
나. 장르의 특성과 텍스트 파악, 실행을 위한 과정과 실전 알기
다. 녹음과 피드백
라. 녹음후기 나눔
제7주 1. 수업개요 다양한 장르 내레이션 더빙 수업2
2. 수업 목표 성우 연기의 특수성을 경험한다.
다양한 장르의 내레이션을 경험하고 연습한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다큐멘터리, 광고 내레이션 텍스트와 영상 파악
나. 장르의 특성과 텍스트 파악, 실행을 위한 과정과 실전 알기
다. 녹음과 피드백
라. 녹음 후기 나눔
제8주 1. 수업개요 애니메이션 더빙 수업 1
2. 수업 목표 애니메이션 캐릭터 연기를 더빙한다. 화면과 성우 연기의 연결을 시도하고, 감각한다. 필요한 연습에 대해 인지한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영상의 이야기 흐름 파악하기
나. 생동감 있는 인물 연기를 위한 과정
다. 시사와 더빙
라. 피드백과 녹음 후기 나눔
제9주 1. 수업개요 애니메이션 더빙 수업 2
2. 수업 목표 애니메이션 캐릭터 연기를 더빙한다. 화면과 성우 연기의 연결을 시도하고, 감각한다. 필요한 연습에 대해 인지한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영상의 이야기 흐름 파악하기
나. 생동감 있는 인물 연기를 위한 과정
다. 시사와 더빙
라. 피드백과 녹음 후기 나눔
제10주 1. 수업개요 수업에서 실습한 성우 연기를 2가지 이상 넣어 ‘2분반 작품’ 만들기
2. 수업 목표 텍스트 해석, 낭독과 인물 연기, 더빙까지 실습한 내용을 활용하면서 체득하고, 자신의 실력 향상으로 연결한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학생들이 준비한 내용으로 녹음 혹은 더빙 준비
나. 상영과 피드백, 학생들의 피드백과 소감
다. 수업의 마무리 나눔
제11주 1. 수업개요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성우 ‘이선’의 특강
2. 수업 목표 뽀로로, 포켓몬스터의 로사, 달의 요정 세일러문의 루나 등을 연기하고, 안젤리나 졸리, 모니카 벨로치, 캐머런 디애즈 등 여러 여배우 담당, 현재는 연극, 영화, 드라마로 영역을 넓혀 활동하고 있는 성우의 특강으로 학생들의 궁금증과 연기적 고충을 나눈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학생들과 호흡과 소리로 몸과 소리를 풀기
나. 이선 성우를 소개하고, 특강 진행
다. 특강을 통해 새롭게 일어난 생각, 자신과 연결된 관찰 나누기
라. 남은 수업 진행에 대한 안내와 팀 구성 의논
제12주 1. 수업개요 팟 캐스트 제작 1 학생들과 의논 후, ‘언니가 읽어줄게’ 유투브와 팟 캐스트 개시.
2. 수업 목표 다양한 성우 연기를 연습하고 용기 있게 시도한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몸과 호흡 소리 깨우기
나. 팀별 피드백, 1:1 피드백
다. 수업 마무리 나눔
제13주 1. 수업개요 팟 캐스트 제작 1 라디오드라마 대본
2. 수업 목표 다양한 성우 연기를 연습하고 용기 있게 시도한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몸과 호흡 소리 깨우기
나. 팀별 피드백, 1:1 피드백
다. 수업 마무리 나눔
제14주 1. 수업개요 라디오 드라마 제작 1
2. 수업 목표 성우 연기의 가장 기본이고 꽃인 라디오 드라마 연기를 통해 개인의 기량과 진실한 소통의 음성 연기 능력을 키운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몸과 호흡, 소리 깨우기
나. 드라마 대본 읽기, 피드백
다. 수업 마무리 나눔
제15주 1. 수업개요 라디오 드라마 제작 완료, 수업 마무리
2. 수업 목표 성우 연기의 가장 기본이고 꽃인 라디오 드라마 연기로 수업에서 발견하고 향상한 능력을 시험한다. 15주간의 경험을 나누고, 수업을 마무리한다.
3. 세부 진행 내용 가. 몸과 호흡, 소리 깨우기
나. 라디오 드라마 녹음
다. 함께 듣고 피드백
라. 수업 마무리 나눔

교강사

  • 고재균
    이력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

    프로필
  • 전지원
    이력

    국민대학교 공연예술학 박사

    프로필
  • 이선(초빙특강)
    이력

    KBS 23기 공채 성우

    프로필
윤현식
  • 이력
    • 현) 한국연출가협회 감사, 한국연극인복지재단 감사